티스토리 뷰

묵묵옹집

 

 

3대에 걸친 오랜 작업으로 펴내는 할아버지 문집

 

내 한 몸을 보더라도 어째서 ‘묵묵(默默)’이 이처럼 많단 말인가? 묵묵에서 나고, 묵묵에서 자라고, 묵묵에서 늙어 가니, 외롭고 쓸쓸한 나의 옛 모습은 할 말이 없어 앉아 있고, 버쩍 야위어서 피골이 상접〔鳴骨〕하여 말이 없어도 행하니, 집안사람들이 묵묵옹(默默翁)이라 일컬어 동네 사람들도 묵묵옹으로 부른다. 물에서 낚시하니, 묵묵어옹(默默漁翁)이라 부르고, 산에서 나무를 하니 묵묵초옹(默默樵翁)이라 부른다. 묵묵이 천지자연〔乾坤〕이고, 가는 곳마다 묵묵이 아닌 것이 없기에 나의 자호(自號)는 묵묵옹(默默翁)이다.

오호라! 묵묵의 뜻이 어찌 어지러운 바가 없겠는가.

―지은이 김기호 선생의 「묵묵옹 자서」 중에서

 

아버지는 타고난 자질이 총명하여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어 오래도록 연구하여 쌓은 지식이 이미 깊고, 효도와 우애로써 집안을 바로 세워 훌륭한 계책을 후세에 남겼다. 의지와 기개가 호방하고 웅대하여 위태로움을 보면 정의를 위해 나섰으며, 힘들게도 학교를 설립하여 후생을 계도하였다. 불초함을 돌아보며 당일에 자식으로서의 직분에 몸을 바칠 수 없어 세상에 부쳐 살기만 하니 그 덕행의 만에 하나도 본받지 못하고, 세상의 흐름에 떠다니기만 하여 집안의 평판을 실추시켰으니 이보다 더 큰 죄가 없도다. 소자 이제 대를 이어온 마을을 떠나 마산에 와서 살면서 지난 일〔往㤼〕을 추억해 보니 풍수(風樹)의 슬픔을 더욱 금할 수 없다.

―아들 김화산 님의 「가장(家狀)」 중에서

 

73년 전 할아버지는 문집 발간을 염두에 두고 묵묵옹 자서를 남겼습니다. 아버지께서도 할아버지의 뜻을 헤아려 초고를 정리하고 가장을 쓰셨지만, 그 결실을 보지 못하고 할아버지를 따라가셨습니다. 세월은 흘러 어느덧 제 나이 일흔을 넘겼습니다. 더 미룰 수 없어 번역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

할아버지의 시와 산문을 읽고 우리말로 옮기면서 할아버지께서는 행동하는 시인이요, 지성이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구용(九容)과 구사(九思)를 학문의 요결로 삼아 대학과 중용, 역경을 상고하면서 경서의 가르침을 배우고 익혔습니다. 문리를 터득하여 사물의 이치를 꿰뚫어 보는 눈을 가졌습니다. 문학을 통해 성정을 바로잡고 사회의 혼탁함을 경계하면서 사상과 철학, 윤리관을 풀어나갔습니다. (…) 일제 탄압의 엄혹한 시기를 살면서 자신의 꿈과 포부를 펼치기 위해 지사적 삶을 도모하면서 범처럼 높은 기상을 따르려는 의지를 보이고, 학처럼 고고한 풍모를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손자 김복근의 「옮긴이의 말」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김기호(金沂鎬)

1893. 5. 16. 경남 의령에서 태어남 호 양이재(養二齋), 차강(次崗), 묵묵옹(默默翁).

1900. 소봉(小峯) 이근만(李根萬) 선생께 수학.

1919. 3. 20. 의령 기미독립만세 운동 참여.

1920. 3. 23. 진주감옥에서 옥고(獄苦) 치름.

1922. 화양강습소 설립, 1928. 7기생 수료 후 강제 폐교.

1927. 10개월간 한반도 일주 기행시 155편 남김.

1928. 한문 서당 관덕정(觀德亭) 개교.

1934. 화양간이학교(華陽簡易學校) 설립.

1945. 화양공립국민학교(華陽公立國民學校) 설립인가.

1945. 8. 15. 광복 후 청년 운동과 남북통일 문제 진력.

1949. 소봉 이근만 선생의 문집 소봉집(小峯集)2펴냄.

1950. 8. 18. 진양군 대곡면 설매리 운매 산골에서 별세.

1974. 3. 1. 의사 양이재 김기호 공 추모비 건립.

1981. 5. 3. 양이재 장학회 설립 운영 1999년 폐회.

2024. 시문집 김기호 시 묵묵옹집펴냄.

 

옮긴이 김복근(金卜根)

1950. 6. 12. 경남 의령에서 태어남.(김기호 선생의 종손)

시조시인, 문학평론가, 문학박사.

경상남도거제교육지원청 제20대 교육장경상남도문인협회 제13~14대 회장 역임 후 고문.

국립국어사전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공동대표, 한국문인협회 자문위원, 문학인신문논설위원.

시조집 비포리 매화, 논저 생태주의 시조론평론집 평화, 저 아득한 미로찾기, 산문집 별나게 부는 바람등 저서 15권 펴냄.

의령충혼탑 헌시 헌사 헌정.

황조근정훈장 수훈, 대통령 표창, 모범공무원 표창.

한국시조문학상, 성파시조문학상, 경상남도문화상, 유심작품상, 한국문협작가상 등 수상.

2015 세종도서문학나눔, 2019 아르코문학나눔 선정.

 

 

 

차례

 

묵묵옹 자서(默默翁 自序)

양이재 김공 유고집 서문(養二齋金公遺稿序)안용호

일러두기

 

 

1부 자연 찬미

 

입춘(立春)

새해 감회를 읊다新年感吟

신년을 칭송하다新年頌

설날 아침 시험 삼아 읊조리다元旦試吟

꽃병의 매화를 읊다詠甁梅

겨울 매화冬梅 二絶

매화 삼수(梅花三首)

뜨락의 매화庭梅

··강산의 풍월을 읊다花鳥江山風月吟

정월 보름날 문득 읊다上元偶吟

모란을 읊다吟牧丹

봄날의 강성春日江城

꽃을 아쉬워하다 이절惜花 二絶

꽃이 지다洛花

봄놀이春遊

삼가 청도 화양재 원운을 차운하다謹次淸道化陽齋元韻

중춘(仲春)

염창호 십 경湖十景

염창 과수원에서 여러 가지 사물을 읊다 잉고시 이십사절滄果園雜 詠 仍古詩 卄四絶

단양(단오)(端陽)

봄을 보내다餞春

저문 봄을 우연히 읊다暮春偶吟

초여름을 읊다初夏吟

반가운 비喜雨

서늘한 여름비夏雨生凉

큰비에 전년 수해를 기억하다大雨憶前年水害

모내기移秧

우거진 숲綠陰

여름날 산에 오르다 다섯 수, , , , (운자)夏日登山 五首, , , , (韻字)

여름날 손님을 맞이하다夏日迎客

등산을 하며 여름을 식히다消夏登山

칠월 칠석을 읊다吟七夕

장난삼아 쓰다 이수戱題 二首

관란정에서 놀다遊觀瀾亭

저녁에 지는 해 이절落照二絶

가을 새벽秋曉

산수화를 보고 글을 쓰다題山水畵

중양 2重陽 二絶

가을 회포秋懷

가을날 감회를 읊다 오절吟秋日感吟 五絶

근심스러운 생각愁思

가을밤에 이야기하다仲秋夜話

한가위秋夕

늦가을 우연히 읊다晩秋偶吟

대나무 울타리 1籬竹

대나무 울타리 2籬竹

달밤月夜

고민(苦憫)

뜻을 잃다失志

겨울 눈冬雪

뜰의 소나무庭松

지독한 추위極寒

한가한 거처閑居

바위 샘岩泉

시냇가의 돌溪石

강 구름江雲

우연히 세월을 보다看時偶歲

산을 쌓다築山

의춘 팔경(宜春八景)

유곡지에서 물고기를 보다觀魚楡谷池

궁유 봉황대 원운을 차운하다次宮柳鳳凰臺元韻

덕곡 모송재를 차운하다次德谷慕松齋韻

온갖 느낌 삼절雜感 三絶

정암루 위에서 읊다 이절鼎岩樓上吟 二絶

심상돈 신병일 한세원 심상석과 더불어 세밑에 한탄하며 마시다與沈相敦辛秉鎰韓世源沈相碩歲暮恨飮

서로 생각하다相思

흰머리白髮

오래된 소나무古松

집에서 한가하게 지내며 스스로 술회하다居家自述

깊이 생각하다思索

썩은 나무朽木

두루미

내 버릇吾癖

나의 즐거움吾樂

누에를 치다養蠶

농사를 권하다勸農業

뜻을 얻다得意

섣달 그믐날 회포를 쓰다 이절歲暮書懷 二絶

부업을 권하다勸副業

 

 

2부 인물 송가

 

늙어서 여윈 얼굴蒼顔

유학하는 화산 아들에게 부치다寄東遊華山兒

알 수 없는 아들을 기다리며望兒不知

큰아들에게 경계를 말하다誡長兒

지방관 아우 영호를 깨우치다諭弟永鎬面任

아우를 유학 보내다送弟留學

동에서 유학하는 아우 영호에게 부치다寄東遊舍弟永鎬

해방(解放)

우남 이승만 박사 귀국을 우러러 차운하여 칭송하다敬次雩南李博士承晩歸國詩

안백산을 생각하다懷安白山

이우식 시혜비를 칭송하다頌李祐植施惠碑

월남 이상재 선생을 생각하다憶月南李先生商在

달밤에 황우석과 함께 염창에서 놀다月夜同黃禹錫遊滄

늦가을 염창서 뱃놀이하다晩秋船遊滄

복노인을 기리다頌福老

꿈에 정인을 보다 삼절夢見情人 三絶

비암을 지나가며 읊다過比岩吟

화양경로회(華陽敬老會)

매하 최영년의 이현금을 하례하다賀梅下崔永年二絃琴

정우 문영배에게 부치다寄情友文永培

세간리 은애하는 벗 이용세에게 회포를 부치다懷寄世干恩友李鏞世

경성의 정다운 벗 이우선에게 부치다寄京城情友李右善

양주 옛 벗 이극우에게 부치다寄楊州舊友李極雨〔〕

한양 내몽 김관수에게 부치다 이절寄漢陽乃夢金瓘洙 二絶

충주 매전 박원근에게 부치다寄忠州梅田朴遠根

무학에서 우거하는 사종 아우 상갑에게 부치다寄舞鶴寓四從弟相甲君

심상화에게 봉초를 부치다寄沈相和封草

신병일을 생각하며 드리다 오수懷贈辛秉鎰 五首

하상규에게 정을 부치다情寄河尙奎

우당 조선생이 방문하다訪迂堂曺先生

박곡 처사 문봉호를 방문하다訪朴谷處士文鳳鎬

봉치 창호 족장을 방문하다訪鳳峙族丈昌鎬

본 고을 수령 임헌평을 방문하다本林憲平來訪

단성 추범 권도영 어른을 방문하다訪丹城秋帆權道永丈人

만추에 변호사 김영택을 방문하다晩秋訪辯士金永澤

참사 강정희가 내방하다姜參事正熙來訪

눈 온 뒤 참봉 강재수 영감을 방문하다 이절雪後訪姜載秀參奉令監 二絶

청도 백곡 종손 용석이 내방하다淸道栢谷宗孫容碩來訪

염창 농부 집에 이성희 스스로 서울서 내방하다和滄田舍李誠熙自京而來訪

동경 학우 곡천 장수웅이 찾아오다東都學友長谷川秀雄來訪

중추절 달밤에 약속한 우인이 찾아와 밤을 새우다仲秋月夜友人來約經宵

삼가 구파 류춘수 공를 차운하다 이수謹次九坡柳公春秀 二首

삼가 문향각 고상한 책을 차운하다謹次聞香閣雅集韻

허 어산 공 물리재를 하례하다賀許於山勿里齋

본 고을 수령 정재상에게 보답하다酬本鄭在祥

남강 심 선생에게 절하다拜南崗沈先生

승산 구은산 선생께 절하다拜勝山具隱山先生

전 진양 주정 박익모에게 드리다贈前晋陽主政朴益模

하상규 형이 국화 줌을 사례하다 이절謝河兄尙奎分贈菊花 二絶

주사 서기주에게 드리다贈主事徐基周

술을 보내준 사람에게 사례하다謝人送酒

하정 이용세 생장지에서 아쉬운 이별을 하다惜別荷汀李鏞世生長地

주정 정승주에게 보답하다酬主政鄭承周

정암 초당 하청에게 드리다 이절贈鼎岩草堂河淸 二絶

상사 이흘와 선생 전서를 칭찬하다讚李上舍吃窩先生篆書

염창호 강사에서 정인회, 한창락, 신정수 여럿이 나누어 시를 읊다湖江舍同鄭仁恢韓昌洛辛正洙諸氏分韻

강정희 노규동 이정우 여러 군자와 남산에서 놀다同姜正熙盧奎東李禎雨諸君子遊南山

퇴임 후 신년 소감을 적다退任後新年誌感

노사 정영진을 삼가 차운하다謹次老査鄭令鎭

이종남 정승주와 더불어 진양성 위를 산보하다與李鍾南鄭丞周散步晋陽城上

도산 박영철에게 서울집 낙성시를 멀리서 차운하다遠次島山朴榮喆京第洛成詩

서쪽으로 가는 벗을 전송하며送友之西

사람의 맑은 노래有人淸歌

달에 절하며 연꽃 물가에서 배를 타고 약속으로 서로 만나니 비로 인해 결과를 짓지 못하고 화목한 정만 부치다月拜舟所荷汀相逢之約因雨未果寄情而和之

존경하는 스승 소봉 이 선생 문집이 이루어짐을 알리는 시敬次先師小峰李先生文集告成詩

가을날 영사샘에서 스승을 우러러 그리며 글을 짓다秋日行暎沙泉慕仰先師與處而作

옛 스승 손자 하정에게 화답하다和先師家孫荷汀寄情者

초은 김인석 시를 삼가 차운하다敬次樵隱金仁錫詩

신경부와 더불어與辛敬夫

의춘 문묘를 배알하다拜宜春文廟

집안을 훈계하다家誡

몸을 살피다身省

성인(聖人)

목동(牧童)

어부(漁夫)

한가한 스님閒僧

늙은 기생老妓

가난한 여인貧女

지극한 여덟 가지八至

농부가 탄식하다田家歎

벼슬아치가 탄식하다吏家歎

불우(不遇)

이웃집 아들 음주를 책망하다責隣家兒飮酒

농가의 고통農家苦

갑자 노래甲子歌

 

 

3부 반도기행

 

자언: 나를 말한다

세상을 한탄하며歎世

집을 나서며出程

염창나루

군창(창원 노상에서)郡昌

행정마을杏亭

마산(馬山)

신당산(新塘山)

월영대(月影臺)

진영 들판進永野

김해에서 놀다遊金海

수로왕릉을 배알하다拜謁駕洛王陵

부산 초량草梁

부산(釜山)

용두산에 올라登龍頭山

해운대(海雲臺)

범어사(梵魚寺)

동래온천에서 잠자다宿東萊溫川

낙동강을 거닐며遊洛東江

영남루에 올라登嶺南樓

청도 백곡재실을 방문하다訪淸道栢谷齋室

경주 계림(慶州鷄林)

첨성대(瞻星臺)

반월성(半月城)

봉덕사종(奉德寺鐘)

분황사 탑(芬皇寺塔)

흥무왕릉(김유신 능)興武王陵

무열왕 비(武烈王碑)

벽옥정에서 놀다遊碧玉亭

대구(大邱)

달성공원(達城公園)

금호강에서 놀다遊琴湖江

복사꽃과 연꽃을 드리다贈桃紅蓮玉

문경새재를 넘어가며過聞慶鳥嶺

상주 창렬사(尙州 彰烈祠)

오산정을 지나가며經烏山亭

제천 한벽정(堤川寒碧亭)

충주 탄금대(忠州彈琴臺)

여주 신륵사(驪州神勒寺)

광주 남한산(廣州南漢山)

양평 죽랑 사당陽坪竹郞廟

벽운산에 올라登碧雲山

양주 천축사(楊州天竺寺)

백운암을 거닐며遊白雲菴

고양 혜음령(高陽惠陰嶺)

수원 팔달루(水原八達樓)

왕십리 가는 중에往十里途中

수원서호(水原西湖)

한양을 회고하다漢陽懷古

종남산(남산)에 올라서登終南山

경회루(慶會樓)

근정전(勤政殿)

집옥재(集玉齋)

경학원(經學院)

광무대 12(光武臺 十二絶)

판서 김영호의 바깥 땅을 찾아가다訪判書金永灝外庄

화수류정을 찾아 읊다 (고시 일편)訪花隨柳亭吟 古詩一篇

개성 옛 자취를 돌이켜 생각함開城懷古

만월대(滿月臺)

숭양비(崧陽碑)

자하동천(紫霞洞天)

박연폭포(朴淵瀑布)

외 내몽 김권수(外乃夢金權洙)

평양 옛 자취를 회고하며平壤懷古

대동문(大同門)

부벽루(浮碧樓)

연광정(練光亭)

을밀대(乙密臺)

안주 백상루(安州百祥褸)

객지의 아름다운 새벽客中佳辰

대령강을 가다大寧江行

박천에서 묵다宿博川

박천을 떠나면서發博川

압록강(鴨綠江)

함벽루(涵碧樓)

통군정(統軍亭)

화북요정(華北料亭)

진강산을 바라보며望鎭江山

차를 타다搭乘

인천시(仁川市)

인천 바다仁川海

평택 밤을 걷다平澤夜行

직산에서 노닐며遊稷山

모산 진사 구영화를 방문하다訪毛山進士具永化

모산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다毛山懷鄕

모산 밤 연회毛山夜宴

진위 장호천(振威長好川)

천안 위례성(天安慰禮城)

남구용을 응대하다酬南九容

속리산사를 거닐며遊俗離山寺

공주객관에서公州客館

계룡산(鷄龍山)

백제를 회고하다百濟懷古

쌍수성에 올라登雙樹城

사비성(泗城)

낙화암(落花巖)

조룡대(釣龍臺)

평제탑(平濟塔)

고란사(皐蘭寺)

왕릉을 보며觀王陵

인원비(仁願碑)

부소산(扶蘇山)

백마강(白馬江)

원학암(猿鶴庵)

미륵 부처님彌勒佛

관촉사(灌燭寺)

하산 길에 읊다吟下山路

남구용에게前南九容

초정 용은 족인에게 사의하다謝儀樵亭龍隱族人

불이촌에서 야은 길선생 영정에 절하다不二邨拜冶隱吉先生影幀

장대 만회 허상우를 방문하다訪將臺晩悔許相佑

금산 초현 신석우 집에 머물다留錦山草峴辛錫雨

진안 마월산중에서 묵다宿鎭安馬月山中

자운동 처사 손재우를 방문하다訪紫雲洞處士孫在佑

주씨 초당에서 묵다宿周氏草堂

장수 논개 생장비와 서리 순의비를 보고 느낌 이수長水論介生長碑胥吏殉義碑見感 二首

운악정에서 놀다遊雲岳亭

육십령 고개를 넘어가며踰六十峴

운계동을 지나가며經雲溪洞

경암재에서 수암 송세원과 응대하다酬景岩齋宋世元

전주의 여러 구경거리全州雜觀

남원 광한루(南原廣寒樓)

지리산에서 놀다遊智異山

천왕봉(天王峯)

개평마을 정씨 재실을 방문하다訪介坪鄭氏齊室

청계서원을 배알하다謁淸溪書院

처사 정우당을 방문하다訪處士鄭友堂

갑산의 족장 어른을 방문하다訪甲山令監族丈

죽담정사에서 여럿이 어울려 시문을 주고 받다竹潭精舍與諸益唱酬

장계에서 묵으며 옛 서울을 술회하다宿長溪述古京

오진기와 산사에서 밤에 이야기하다與吳鎭琪山舍夜話

추범 권도영을 방문하다訪秋帆權道永

오산정을 지나가며過鰲山亭

김동호와 응대하다酬金東鎬

김재연과 응대하다酬金在緣

이호룡과 응대하다酬李好龍

경호강에서 놀다遊鏡湖江

만산 족장을 방문하다訪晩山族丈

구례 가는 길에求禮行路

화엄사의 한가한 스님華嚴寺閒僧

서울 벗 김내몽을 생각하며 부치다懷寄京友金乃夢

하동 쌍계사(河東雙磎寺)

보각 종소리普閣鐘聲)

지리산 달빛方丈月色

화개포에서 묵다宿花開浦

탁영 일두 두 현인 유지를 지나가며 이수過濯纓一囊兩賢遺地 二首

악양을 일찍 출발하다早發岳陽

섬진강 뱃놀이舟遊蟾津江

강사에 늦게 묵다晩泊江舍

원사정에서 쉬다休院沙亭

내평으로 돌아가는 길內坪歸途

촉석루에 올라登矗石樓

단목서 밤놀이하다丹牧夜遊

의령으로 돌아오는 길宜春歸途

집에 돌아와 쓰다歸家作

 

 

4부 축하·애도

 

무송 정공의 벽상운을 낭송하다頌撫松鄭公壁上韻

유교 창명회를 하례하다賀儒敎彰明會

순천 김상규 효적을 하례하다賀順天金尙珪孝蹟

공의 고달승에게 하례하다賀公醫高達升

심상돈과 응대하다酬沈相敦

조찬현 어른 화갑을 축하하다祝曺讚鉉丈人花甲

노규동 어른 화갑을 축하하다祝盧奎東丈人花甲

정태하 자당 수연을 차운한 시次鄭泰夏壽母詩

심상석 어버이 생신 잔치 시를 차운하다次沈相碩壽親詩

유재경 생일 자수시를 차운하다次劉載景自壽詩

한주백 생일 자수시를 차운하다次韓周伯自壽詩

경성에 머문 이시정 회갑 운을 따라 차운하다追次李時正滯京回甲韻

본 고을 수령 최두연에게 보답하다酬本崔斗淵

전 진양군수 임헌평 영감께 드리다贈前晋陽郡守林憲平令監

고성군수 김학성을 진주에서 응대하다酬固城郡知金學成於晋州

조희두 태수 양산 전임을 석별하다惜別曺太守喜斗轉任梁山

은사 소봉 이 선생님을 삼가 애도하다恩師小鳳李先生謹挽

구파 류춘수 공을 애도하다謹輓九坡柳公春秀

삼가 만애 신공 어른을 애도하다謹輓辛晩崖丈人

삼가 산청 만산 족장을 애도하다謹悼山淸晩山族丈

참사 강정희를 애도하다輓姜事正熙

상사 강봉희 어른을 애도하다 이절輓姜上舍鳳熙丈 二絶

전 판사 이종남을 애도하다悼前判事李鍾南

처사 한정해 어른을 애도하다輓處士韓定海丈人

박곡 종숙 태경을 애도하다輓朴谷從叔泰景

봉치 창호 족장을 애도하다輓鳳峙昌鎬族丈

전 학교장 김경진을 애석해하다惜前學校長金璟鎭

정인회 어른을 애도하다輓鄭仁恢丈人

박휘선 어른을 삼가 애도하다謹輓朴輝善丈人

남강 심공을 애도하다輓南岡沈公

양천 전형진을 애도하다 이절輓陽川田亨鎭 二絶

진성 문영배를 애도하다 이절輓晋城文永培 二絶

심여회를 애도하다 이절悼沈汝晦 二絶

정덕칠 노부처 영면을 조상하다弔鄭德七老夫妻同死

이억근을 애도하다輓李億根

모씨 횡사를 삼가 애도하다謹悼某氏橫死

삼종숙 영세를 애도하다輓三從叔永世

한도균을 애도하다輓韓道均

받들어 애도하다奉悼

 

 

김국형 묘표(金國亨 墓表)김황

의사 양이재 김기호 공 추모 비문안호상

묵묵옹 김기호 선생 약사

가장(家狀): 집안 행적을 적은 글김화산

옮긴이의 말김복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