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운 선생을 오늘에 입체적으로 되살린 책

김정대  경남대 명예교수, 경남대학교 고운학연구소장

 

농정農庭 최순용崔淳鏞 시인은 호에 들어 있는 ‘농農’과 이름에 들어 있는 ‘순淳’에서 예견되는 것처럼, 참으로 순박한 분이다. 나이가 나보다 서너 살 위인 농정을 처음 만난 것은 2018년 4월이었다. 경남 함양군 상림공원 인근에 새로 들어선 ‘최치원 기념관’에 고운 선생 영정 봉정식을 하던 행사장에서였다. 나는 고유문을 지은 경남대학교 고운학연구소 소장의 자격으로, 농정은 고운의 32세 후손의 자격으로 참석했다.

행사를 마치고 저녁 식사 자리에서 인사를 나눌 기회를 가졌다. 농정은 원래 말수가 적고 그나마 아끼는 편이었다. 경주 최씨 시조 할아버지인 고운과 관련된 책을 쓴다는 사실을 어렵게 털어놓았다. 망설이면서 이 말을 꺼내던 그때 그 표정을 잊을 수 없다. 이름도 이름이려니와 호도 참 잘 지었다는 생각을 그때 했던 것 같다.

《경남의 르네상스, 최치원이 열다》는 고운에 대한 ‘종합 안내서’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물론, 중국 등지에서 고운을 연구한 결과물들이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1,100여 년 전에 이미 국제화를 실현한 분이어서 그럴까, 아니면 우리 사회가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너무나 분열되어 있어 융합 내지 통합을 내세웠던 고운 선생의 정신이 그리워서일까. 그러나 대부분의 논저들이 고운의 어느 한 부분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것이어서, 일반인들이 접하기가 쉽지 않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고운의 학문과 사상을 평이하게 기술하면서도 전문가적인 식견도 가미한 그런 책이 나왔으면 참 좋겠다, 이런 생각을 갖고 있던 참이었다. 그런데 농정의 초고를 보니, 그것은 나의 이런 생각을 충족하기에 딱 알맞은 것이었다. 추천사를 부탁한다고 했을 때 약간 망설인 것은 사실이었다. 여러 모로 부족한 내가 그런 글을 쓰는 것이 도리에 맞지 않은 것 같아서였다. 그러나 그의 진심을 알고 나는 기꺼이 추천사를 쓰기로 마음먹었다.

이 책이 갖는 장점은 참으로 많다. 영정을 비롯하여, 각종 각석물, 유적지, 기념관 등 고운 관련 사진을 풍부하게 넣은 점이 가장 돋보이는 부분이다. 고운의 주유도周遊圖, 유적의 주요 소재지, 연표 등이 이렇게 일목요연하면서도 정확하게 표현된 자료도 나는 일찍 보지 못했다.

주제에 따라 이 책을 일곱 장으로 나눈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같은 주제를 한 군데 모아놓으면 그 주제를 더 쉽게 이해하게 될 것이 아니겠는가. 이 책에는 같은 내용이 여기저기 섞여 나오기도 한다. 그것은 이 책이 이렇게 주제에 따라 편집된 데서 기인하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 하겠다.

많은 내용이 여러 사람들에 의해 검증된 것이어서 안심하고 읽을 수 있다는 점 또한 이 책이 갖는 미덕의 하나다. 그 많은 자료들을 어디에서 가져왔는지, 원고를 읽으며 감탄하기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단순히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집대성해 놓은 것만은 아니다. 곳곳에 저자의 번득이는 혜안도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경남 사천에 있는 다솔사多率寺도 고운의 발길이 머문 곳인데, 이 사실은 지금까지 그 어디에서 언급된 적이 없다고 지적한 점, 쌍계사본의 두 번째 영정이 조성된 경위를 처음으로 소상히 밝힌 점, 또 이 영정의 정밀 감식과 관련된 일을 자세히 언급한 점 등등은 직접 발로 뛰거나 집안 어른들로부터 전해 들은 바가 없었다면 적기 어려운 것이라 하겠다.

세상 사람들이 고운을 곡해한 부분에 대한 농정의 비판도 눈길을 끈다. 이 책 곳곳에 있는 이런 내용은 읽는 이에게 청량감을 준다.

농정은 또 고운의 융합·통합 정신을 강조하면서,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국제간에도 이런 정신이 요구되는 오늘날임을 여러 차례 짚어 주고 있다. 지극히 타당한 언급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너무나 많은 갈등을 겪고 있다. 이러다 구한말 우리가 당했던 것과 같은 비극을 다시 당하는 것 아닌가 하고 고민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고운의 화합·융합 정신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요즘이다. 이 책은 이런 사실을 일깨워 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책 전체를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정조情操는, 고운이 ‘진정한 경남인’이고, 고운이 ‘경남의 르네상스’를 일으킨 분이라는 사실이다. 이것은 농정이 이 책을 쓰고자 했던 근본 이유이기도 하다. 고운이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비문을 지어 세우고, 함양군 태수로 선정을 베풀었으며, 생의 마지막 안식처로 합천 가야산을 택한 것은 그래서 농정에게 매우 의미 있는 사실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독자들이 이 점을 놓치지 않았으면 한다. 고운이 한국 지성사의 가장 우두머리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경남의 르네상스는 곧 한국의 르네상스일 것이다.

이 책을 준비하는 데 10년이 걸렸다고 농정은 말한다. 이 책은 그만큼 그의 혼이 담긴 책이라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오늘에 되살아난 고운을 만나게 된다. 나는 고운을 이렇게 입체적으로 오늘에 되살린 농정의 그 능력과 정성에 큰 박수를 보낸다. 그러기에 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많은 분들께 이 책자를 한 번 읽어 보시라고 감히 권하는 것이다.

농정의 앞길에 문운이 가득하길 빈다.

2019년 6월

경남대학교 고운학연구소장·한국어문학과 명예교수 김정대



출처: https://gnbook.tistory.com/entry/최순용-편저-경남의-르네상스-최치원이-열다-발간 [도서출판 경남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