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림의 소리들 —손정란, 유명숙의 수필 강외석 문학평론가 1. 울림의 글쓰기 수필은 거창한 글쓰기가 아니다. 작은 것, 사소한 일상에 대한 이야기가 수필의 핵심일 것이다. 그러나 그 깊은 내막은 작고 사소한 것이 곧 세상을 움직이는 큰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수필은 인간적인 주변의 일상의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정조준하여 꽂는 글이다. 그 시선은 결국은 탐구와 발견의 눈이다. 그래서도 수필은 창작이다. 창작invention은 라틴어로 inventio인데, 그것은 ‘생각이 떠오르다’ 혹은 미처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아직 알려지지 않은 사물이나 현상, 사실 따위를 찾아내는 것 곧 탐구와 발견의 뜻이다. 따라서 창작은 어떤 대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숨겨져 있거나 은폐되어 있던 것을 발굴해내는 것인 만큼 소중한..
位相詩論–시의 미학적 차원 문제 —〈하이퍼 큐브에 관한 기록〉과 〈경유지에서〉를 중심으로 전문수 본지 주간·문학평론가 시는 물론 모든 문학작품은 그 시대의식에 따라 새롭게 창조돼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모든 존재는 실존하는 실제가 지금이란 시간에 수렴되는 일원화 차원에 있다. 그러나 우리들 관습은 매우 자주 이런 정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구태 내지 나태일 때 그 문학 작품들은 낭패와 안타까움을 피할 길이 없을 때가 많다. 한 편의 작품쯤이야 하는 무사안일함이 예사처럼 보일 때는 참 민망하다. 인간만이 모든 사물의 생명 가치의 차원을 고민하면서 살아야 하는 영적 권화를 얻는 존재여야 한다면 매 작품마다에 대한 자의식과 철저한 실존적 전의가 매우 중요하다. 모든 생명체에 주어진 실존 시간에는 과거와 현재 미..

│차례│ 권두비평 시적 시간의 미학에 대하여 - 전문수 근작시 김 근 - 참꽃이 피면 외 1 민창홍 - 암각화 외 1 안 웅 - 갑을관계 외 1 정삼조 - 어린 것들에 대하여 외 1 정소란 - 냉이 외 1 황시언 - 봄·4 외 1 시인이 읽은 詩 이상개 시인이 읽은 詩 강영환 作 〈계곡주〉, 민윤기 作 〈바로잡기〉 김연동 시인이 읽은 時調 정용국 作 〈반지하 창밖에는〉, 이송희 作 〈바닥에 대한 단상〉 임신행 아동문학가가 읽은 童詩 박경용 作 〈이름 값 하느라〉, 신형건 作 〈초인종〉 근작 3인 소시집 김양채 - 봄밤 외 4 옥영숙 - 삼월 외 9 조남훈 - 엄마 국시 외 9 근작수필 김영혜 - 고마~ 괜찮다 박순자 - 달콤한 놀이방 오하룡 - 아, 이런 하소연을 듣다 외 1 유명숙 - 다리를 놓다 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