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머│리│에 가을호 발간에 즈음하여 신상철 가을이 성큼 우리 곁에 다가왔다. 하늘이 저만치 높푸르고 햇볕이 다사로우며 바람이 한결 소슬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때 『작은문학』 가을호가 세상에 나간다. 금년 봄에 창간되어 여름호를 거쳐 그 3호가 되는 셈이다. 가을을 흔히 독서의 계절이라 한다.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의 이 가을에 『작은문학』이 여러분 곁으로 가서 여러분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으면 한다. 요즈음은 영상매체를 보고 즐기느라 책을 읽고 생각하는 시간이 점차 좁혀지는 경향이 없지 않다. 말이 살찌는 이 가을에 사람들도 살이 쪄야 한다. 사람의 살은 신체적인 살보다 정신적인 살이 더 바람직한 것이다. 정신적인 살을 찌게 하는 길은 다른 데서도 찾을 수 있겠지만 책을 읽는..
책│머│리│에 '한국문학'이 없는 '문학의 해' 박경수 '문학의 해'에서 무엇보다 먼저 생각게 되는 것이 있는데 지난 1994년이 '국악의 해'였던 그것이다. 그 때는 그저 무심상히 그 국악의 해를 받아들이면서 다만 평소 그 쪽에 다소 취미를 가지고 있었던 터라 그 해에 맞춰진 여러 행사와 창악(唱樂)들을 즐겨 보고 듣고 했을 뿐이었다. 그 해에 내 그 쪽 계통의 외도책(外道冊) 하나 『소리꾼들 그 삶을 찾아서』 부춘향가고(附春香歌考)가 나와서 얼마간의 용전도 생기고 한 무망지복(毋望之福)을 누린 것도 있다. 아무튼 그렇게 그 해를 지내고 다음 해인 1995년의 '미술의 해'와 금년 1996년의 '문학의 해'를 보면서 나는 비로소 그 해의 그 '국악의 해'란 명칭에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그 때의 명칭은..
경남시인선 총목록 경남시인선 1│지금 마산은●田文秀 吳夏龍 편 경남시인선 2│실향을 위하여●오하룡 시선집 경남시인선 3│어둠을 비껴앉아●강경주 시조집 경남시인선 4│합포만 노래●마산문협 편 경남시인선 5│꽃을 보는 마음●방창갑 시집 경남시인선 6│기다리는 마음●홍진기 시조집 경남시인선 7│무학산의 노래●마산문협 편 경남시인선 8│우리네 예사사랑●김춘랑 시조집 경남시인선 9│너는 가을이 되어●김혜숙 시집 경남시인선 10│사랑의 逆說●강경주 제2시조집 경남시인선 11│깃발 함성 그리고 자유●변승기 외 경남시인선 12│貴峴里●고영조 시집 경남시인선 13│예나 지금이나●김형진 시조집 경남시인선 14│물방울의 꿈●민병기 시집 경남시인선 15│개망초꽃도 시가 될 줄은●이영자 시집 경남시인선 16│마산에 살며●오하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