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두비평- 시인과 시에게 되묻는다/ 전문수 시인이 읽은 詩 오하룡 시인이 읽은 詩 조영서 〈창원군 창원면 소답리 61번지〉, 오탁번 〈끙!〉 김연동 시인이 읽은 時調 이화우 〈씨〉, 박미자 〈가을 칠판〉 임신행 아동문학가가 읽은 童詩 류경일 〈내가 키우는 달〉, 함민복 〈숨바꼭질〉 생활의 발견 다시 생각하는 생안사존자- 오인문 3인 근작 소시집 장승재/ 형산강에서 외 9 정삼조/ 오월 첫날에 외 9 김명희/ 우해牛海 외 9 김만옥 소설가의 내게만 재미있는 아주 사소한 그때 이야기들 1 누에치기/ 무궁화사이다 공장/ 이! 대중탕/ 상이용사/ 단감나무/ 피아노 미술평론가 김호년의 예술가 이야기 김영삼 시인/ 여성화가 설씨부인 근작수필- 이처기/ 달 황선락/ 석천石泉인문학당 문학비평/ 유성호= 서정시가 구..
울림의 소리들 —손정란, 유명숙의 수필 강외석 문학평론가 1. 울림의 글쓰기 수필은 거창한 글쓰기가 아니다. 작은 것, 사소한 일상에 대한 이야기가 수필의 핵심일 것이다. 그러나 그 깊은 내막은 작고 사소한 것이 곧 세상을 움직이는 큰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수필은 인간적인 주변의 일상의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정조준하여 꽂는 글이다. 그 시선은 결국은 탐구와 발견의 눈이다. 그래서도 수필은 창작이다. 창작invention은 라틴어로 inventio인데, 그것은 ‘생각이 떠오르다’ 혹은 미처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아직 알려지지 않은 사물이나 현상, 사실 따위를 찾아내는 것 곧 탐구와 발견의 뜻이다. 따라서 창작은 어떤 대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숨겨져 있거나 은폐되어 있던 것을 발굴해내는 것인 만큼 소중한..
位相詩論–시의 미학적 차원 문제 —〈하이퍼 큐브에 관한 기록〉과 〈경유지에서〉를 중심으로 전문수 본지 주간·문학평론가 시는 물론 모든 문학작품은 그 시대의식에 따라 새롭게 창조돼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모든 존재는 실존하는 실제가 지금이란 시간에 수렴되는 일원화 차원에 있다. 그러나 우리들 관습은 매우 자주 이런 정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구태 내지 나태일 때 그 문학 작품들은 낭패와 안타까움을 피할 길이 없을 때가 많다. 한 편의 작품쯤이야 하는 무사안일함이 예사처럼 보일 때는 참 민망하다. 인간만이 모든 사물의 생명 가치의 차원을 고민하면서 살아야 하는 영적 권화를 얻는 존재여야 한다면 매 작품마다에 대한 자의식과 철저한 실존적 전의가 매우 중요하다. 모든 생명체에 주어진 실존 시간에는 과거와 현재 미..